퇴비

지렁이 농법

양평농업 2008. 4. 5. 00:51

토양개선·살균작용 … 작물생육 도와
유기농업을 하면서 지렁이와 그 똥(분변토)에 대해 관심을 갖는 농업인이 부쩍 늘고 있다. ‘자연의 쟁기’ ‘지구의 창자’ 등 별명에 잘 드러나듯 지렁이가 많이 있는 토양은 비옥하고 농사에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일부러 지렁이를 사육해 넣어주거나 생육을 돕는 일은 그다지 흔치 않았다. 또한 실제 지렁이똥에는 비료성분이 그다지 많지 않고, 무엇을 먹여 길렀느냐에 따라 중금속이 검출될 수도 있어 비료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반대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 지렁이똥만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쿠바 농업인들의 사례가 전해지면서 큰 반향이 일었다. 특히 농장 한 귀퉁이에 허름하게 사육장을 만들어 지렁이 분변토를 자급하는 형태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지렁이는 농사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우선 지렁이는 농경지의 유기물과 흙을 먹어 분해한다. 이것을 똥으로 배출하는데 토양과 작물에 비료분을 공급하고 물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마디의 배쪽 구멍에서 끈끈한 액체를 내뿜는데, 이것은 비료분을 공급할 뿐 아니라 살균작용 등도 한다.
또한 이리저리 꿈틀대면서 땅을 파고 다닌다. 흙을 미세하게 가는 효과가 있어 바람을 잘 통하게 하고 비료분과 물이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뿌리와 각종 토양미생물도 이 구멍을 통해 움직인다. 마지막으로
지렁이가 죽으면 그 사체는 최고의 즉효성 비료로 쓰여 작물 생육을 돕는다.
이 같은 5가지 기능에 의해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아미노산과 무기양분, 각종 비타민의 함량이 많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치가 나타나고 있다.
◆병 발생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
지렁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각종 병원균의 발병을 억제한다. 대장균과 살모넬라균·모잘목병(입고병)균 등은 직접 먹어치워 원천봉쇄하며, 사과 검은별무늬병(흑성병)은 병원균이 사는 집을 먹어버린다.
뿌리썩음병과 위축병 등은 병원균의 생활조건을 악화시켜 발병을 줄인다. 밀 모잘록병은 작물에게 길항균(병원균의 생육이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전해주고 생육조건을 좋게 해서 병을 억제한다. 다른 원형동물들도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좋아하는 환경과 싫어하는 환경=
지렁이 개체군의 크기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산도·습도·온도·경작방식 등에 따라 좌우된다. 보통 산도(pH) 5.5~7, 수분함량 60~70%, 온도 12~25℃에서 잘 자란다.
반면 지나치게 습하거나 산소가 부족한 혐기상태, 극단적인 산성 또는 염기성, 바싹 마른 땅, 발효가 덜 된 축분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넣어 염분이 높은 토양, 농약·화학비료 탓에 화학성이 변한 경우에는 살지 못한다. 로터리 작업도
지렁이 생육에 좋지 않다.

'퇴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농부는 미생물관리사  (0) 2008.04.05
등겨 퇴비  (0) 2006.04.22
화분용 퇴비는  (0) 2006.04.22
혐기성소화 , 호기성 퇴비화란?  (0) 2006.04.22
퇴비의 종류  (0) 2006.04.22